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아동재활센터에서는 치료 및 교육이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 수준에 맞는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구분 | 프로그램 | |
---|---|---|
의료재활 | 수중∙물리치료 | 개별 수중∙물리치료 |
그룹운동치료 | ||
작업치료 | 개별 작업치료 | |
그룹 작업치료 | ||
감각통합치료 | 개별 감각통합치료 | |
그룹 감각통합치료 | ||
감각더하기(어린이집 연계) | ||
언어치료 | 개별 언어치료 | |
그룹 동화치료 ‘아궁이’ | ||
심리치료 | 개별심리치료 | |
그룹 심리치료 ‘또박또박’ | ||
발달재활서비스 | 언어치료 | |
음악치료 | ||
교육재활 | 특수교육 | 특수교육 |
재활사업 | 사례회의 | 아동을 선정하여 치료 및 교육내용 공유 |
재활캠프
“한 여름밤의 꿈” | 1박 2일동안 선생님들과 함께하는 여름 재활 캠프 | |
부모교육
“나는 부모다” | 장애아동의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진행 | |
부모실습 “STEP” | 부모 대상 치료 및 교육 영역의 이론교육과 실습 진행 | |
사업설명회 | 기능향상지원팀 사업 안내 |
* 기능향상지원팀 제공인력 경력사항
구분 | 이름 | 경력 | 이력사항 |
---|---|---|---|
작업치료 | 김준호 | 작업치료사 (2011.12~현재) | 작업치료사 면허증
인지운동치료 Basic course 이수 인지발달치료사 자격증 연하재활전문가 (Pediatric Basic course) 이수 연하재활전문가 (Pediatric Advanced course) 이수 활동분석사 교육 이수 School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인정평가자 양성과정 이수 및 환산자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인정평가자 양성과정 이수 및 환산자 |
감각통합치료 | 이지원 | 작업치료사 (2014.1~현재) | 작업치료사 면허증
인지재활입문과정 이수 Vision & Visual Perception Course 이수 소아환자의 연하장애재활치료 이수 연하재활전문가 (Pediatric Basic course) 이수 Bobath (Pediatric Basic course) 이수 감각통합기초과정 이수 감각통합치료 평가도구웍샵(SP2) 이수 감각통합치료 평가도구웍샵(Clinical Observation) 이수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인정평가자 양성과정 이수 및 환산자 소아작업치료사를 위한 놀이활동분석치료 이수 |
심리치료 | 정혜수 | 심리치료사 (2013.3~현재) | 상담심리지도사 자격증 문장완성검사와 주제통각검사 워크숍 이수 BGT 및 그림검사 워크숍 이수 ASEBA 검사군 교육 과정 수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급 자격이수 |
언어치료 | 박혜란 | 언어재활사
(2017.6~현재) | 언어재활사 2급 자격증
청능사 자격증 다문화언어교육사 자격증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전문가 이수 Auditory-Verbal Therapy(AVT) 이수 |
물리치료 | 김경미 | 물리치료사 (2000.8~현재) | 물리치료사 면허증
가톨릭 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 Bobath (Pediatric Introductory course) 이수 Bobath (The Normal Movement course) 이수 Halliwick 10 point Programme Course 이수 Aquatic Therapy Introductory Course 이수 SMT 척추임상전문가 과정 이수 Body Alignment Basic Course 이수 Chiropractic BioPhysics Advans Course 이수 Pettibon Biomechanic Technique Advance Course 이수 Energy Formatting Technique Advans Course 이수 |
특수교육 | 최민주 | 특수교사 (2008.3~현재) | 특수학교(유치원) 정교사(2급) 취득
한국 감각운동 교육 연수 이수 장애유아통합교육 교사양성과정 수료 정서 ․ 행동장애 아동의 행동지원(행동수정) 교육 이수 영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 이수 장애영아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교육 이수 장애영유아 조기개입 서비스의 이해와 실제 교육 이수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 영아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이수 행복한 교실을 만들어가는 긍정적 행동지원(기초) 과정 이수 특수교육 교원 역랑강화 2 과정 이수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 교수 ․ 학습지도 역량 강화 과정 이수 가족 중심 조기개입 전문가 교육-심화과정 이수 K-CDI 아동발달검사 워크숍 수료 K-Baley-Ⅲ(한국형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워크숍) – 초급 1 걸음마기 수료 |
발달-언어재활 | 전은숙 | 언어재활사 (2013.9~현재) | 언어재활사 2급
아동심리상담사 2급 |
발달-음악재활 | 모세랑 | 음악재활사 (2013.3~현재) | 음악중재전문가(KCMT;Korean Certified Music Therapist) 자격증
예술심리중재전문가 1급 자격증 심리상담사 2급 자격증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적 접근 전략 교육 이수 성악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워크샵 이수 음악치료사의 음악활용 기술 강화 워크샵 이수 음악치료를 위한 타 예술치료 분야의 이해 교육 이수 즉흥음악치료에서의 음악적 개입기술과 진단평가 교육 이수 음악치료에서의 상담 기술 교육 이수 PTSD와 음악치료 교육 이수 발성치료의 실제와 음악치료 적용 워크샵 이수 Nordoff-Robbins 음악치료 국제 워크샵 이수 음악치료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장애아동 대상 음악치료 기술 교육 이수 숙명여자 대학원 음악치료과정/ 음악심리과정 수료 |
1. 내용
사업 목적 | 성장기의 정신적ㆍ감각적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운동 등의 기능 향상과 행동 발달을 위한 적절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및 정보 제공 | |||||||||||||||||||
서비스 대상 |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및 재활치료가 필요한 대상 (장애유형 : 시각⦁청각⦁언어⦁지적⦁자폐성⦁뇌병변 장애아동) | |||||||||||||||||||
서비스 내용 | 언어치료 | 음악치료 | ||||||||||||||||||
⦁ 기관 내 서비스 : 7회기(50분, 부모상담 포함) / 1회당 31,420원 ⦁ 재가 방문 서비스 : 6회기(50분, 부모상담 포함) / 1회당 36,660원 | ||||||||||||||||||||
서비스 신청 및 접수 | ①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 ②이용자 카드 발급 → ③복지관 내방 및 전화 신청 → ④치료시간 협의 → ⑤서비스 이용 계약서 작성 → ⑥서비스 이용 (※ 일반 재활치료 대상자 : 복지관 기능향상지원팀 발달재활서비스 담당자에게 서비스 제공 신청) | |||||||||||||||||||
서비스 이용료 |
■ 일반 재활치료 대상자 : 120,000원(월 4회 기준) ■ 추가 이용시 : 1회당 30,000원 |
2. 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지정현황
'지정기간 : 2019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제공인력 정보 | ||||||
프로그램명 | 성명 | 최종학력 | 전공 | 자격증 명칭 | 자격 발급기관 | 주요경력 |
음악 치료 | 모세랑 (여) | 전주대학교 예술치료학과 | 음악 치료 | 음악중재 전문가 (KCMT) | (사)전국음악 치료사협회 | 전주대학교 두드림 (2013.03 ~2014.02) |
쉐마 언어발달센터 (2013.03 ~2014.02) | ||||||
예술치료사 1급 (심화전공 음악치료) | 전주대학교 | 즐거운 언어치료센터 (2015.03 ~2016.01) | ||||
실로암 사람들 (2014.11 ~2017.03) | ||||||
심리상담사 2급 | 한국자격 관리협회 | 실로암 발달재활 서비스센터 (2017.04 ~2017.12) | ||||
대덕구장애인 종합복지관 (2018.01 ~현재) | ||||||
언어 치료 | 전은숙 (여) | 김천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언어 치료 | 언어재활사 2급 | 보건복지부 | 김천대학교 언어치료 임상센터 (2013.09 ~2014.09) |
마중물 아동발달센터 (2015.04 ~2017.12) | ||||||
대덕구장애인 종합복지관 (2015.04 ~현재) |
※ 담당자 : 작업치료사 김준호 대리 / 연락처 : 070-5204-4305